고등 자료실

2023학년도 수능 영어 출제경향 분석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2.11.17
  • 조회수 : 609

 

 

 

목동영어학원 길벗아카데미에서 2023학년도 수능 영어 시험분석 자료입니다.

 

아래 분석은 길벗아카데미 박길수 선생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오늘 치러진 수능시험은 전국 84개 시험지구, 1370개 시험장에서 치러졌으며 졸업생 142,303명을 포함 총 508,030명의 수험생이 응시한 시험이었다.

 

 

영어영역은 지난해만큼 어려웠다는 의견과 약간 쉬웠다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내가 보기에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변별력을 갖춘 시험이었던 것 같다.

 

 

이번 수능 영어시험은 전반적으로 지난 9월 모의평가보다는 어렵고, 지난 6월 모의평가와는 비슷한 난이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수능 영어는 절대평가 과목으로 1등급의 비율로 난이도를 따지는데, 1등급 비율이 적어질수록 어렵다고 평가된다. 2022학년도 수능에선 1등급 비율이 6.2%로 낮아 ‘불수능’으로 불렸다. 반면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는 1등급 비율이 15.97%로 크게 높아졌다. 반면, 6월 모의평가의 1등급 비율은 5.74%로 지난해 수능과 비슷했다.

 

 

고난도 문항으로는 글의 순서를 묻는 37번 문항이 가장 어려웠고, 빈칸을 추론하는 33번과 34번 문항이 그 뒤를 따른다. 37번 문항은 변호사 수임료의 가격 결정 방식에 관한 내용으로, 어휘와 소재가 친숙하지 않아 글의 논리적 흐름을 예측하기 쉽지 않았으며, 34번 문항은 지문의 핵심 내용을 기후변화 상황에 적용하는 문항으로 내용이 상당히 추상적이고 고도의 추론 능력을 필요로 해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난이도로 봐서는 실력을 갖춘 수험생도 정답을 찾기 어려운 고난도 문항이나 지나치게 쉬워서 모두에게 점수를 주는 것 같은 문항은 많이 사라졌다. 하지만 9월 모의평가 정도의 난이도를 기대했던 수험생에게는 영어시험이 왜 이렇게 어려워졌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6월모고에 비해 체감 난이도가 그리 높진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1등급 비율을 6% 내지 7% 정도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고만고만한 난이도의 문제들이 많아 2등급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중상위권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수능 영어의 EBS 연계율이 50%로 떨어지고 모든 독해 문제가 간접연계로 출제됨에 따라 영어시험의 체감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EBS 연계교재만 학습해도 어느 정도 영어 등급을 획득하던 시대는 이제 지나갔다고 봐야 한다. 

 

 

앞으로는 수험생이 비연계나 간접연계의 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하느냐가 영어영역의 등급을 가늠하는 결정적 요인이 될 것이다.

 

 

어법과 어휘, 독해의 기초가 탄탄히 잡히지 않고서는 원하는 등급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우리 앞에 놓여 있는 엄중한 현실이다. 이번 수능이 이러한 현실을 다시 한번 마음속 깊이 다짐해 두는 절호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끝으로 올해 영어시험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다섯 문제들을 분석해 보겠다.

 

 

 

29번 문항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Trends constantly suggest new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to restage themselves, representing occasions for change. To

understand how trends can ultimately give individuals power

and freedom, one must first discuss fashion’s importance as a

basis for change. The most common explanation offered by

my informants as to why fashion is so appealing is ① that it

constitutes a kind of theatrical costumery. Clothes are part of

how people present ② them to the world, and fashion locates

them in the present, relative to what is happening in society

and to fashion’s own history. As a form of expression, fashion

contains a host of ambiguities, enabling individuals to recreate

the meanings ③ associated with specific pieces of clothing.

Fashion is among the simplest and cheapest methods of

self-expression: clothes can be ④ inexpensively purchased

while making it easy to convey notions of wealth, intellectual

stature, relaxation o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even if

none of these is true. Fashion can also strengthen agency in

various ways, ⑤ opening up space for action.

 

 

정답: ②

 

해설: 가독성이 좋은 지문이라서 패션과 옷에 관한 글임을 쉽게 간파할 수 있다. 1번은 so ~ that 구문으로 어법상 하자가 없고, 2번은 대명사 them이 쓰였는데 앞에 지시할 만한 복수명사가 마땅히 없고, 의미상 ‘사람들이 자신들을 세상에 보이는 것이 옷’이므로 재귀대명사 themselves를 써야 할 자리이다. 그 뒤에 나오는 3번의 후치수식 과거분사나 4번의 본동사 앞 수식부사 용법, 5번의 분사구문 용법은 잘못되었다는 느낌이 없다. 기본어법 실력을 갖춘 수험생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게 정답을 골랐을 만한 무난한 어법 문제였다.

 

 

 

33~34번 문항

 

[33-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The entrance to a honeybee colony, often referred to as

the dancefloor, is a market place for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colony and the environment outside the hive.

Studying interactions on the dancefloor provides us with a

number of illustrative examples of how individuals

changing their own behavior in response to local information

. For example, upon returning to their hive honeybees that have

collected water search out a receiver bee to unload their water

to within the hive. If this search time is short then the returning

bee is more likely to perform a waggle dance to recruit others

to the water source. Conversely, if this search time is long then

the bee is more likely to give up collecting water. Since

receiver bees will only accept water if they require it, either for

themselves or to pass on to other bees and brood, this unloading

time is correlated with the colony’s overall need of water. Thus

the individual water forager’s response to unloading time (up or

down) regulates water collection in response to the colony’s

 

need. [3점]

 

① allow the colony to regulate its workforce

② search for water sources by measuring distance

③ decrease the colony’s workload when necessary

④ divide task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talents

⑤ train workers to acquire basic communication patterns

 

 

정답: 꿀벌 군집 입구에서 꿀벌들이 춤을 추는데 이 춤을 통해 군집의 형편과 외부 상황에 대한 정보 교환을 한다는 내용이다. 두 번째 문장이 이 글의 주제문이며 빈칸이 나오는 문장이다. 이 주제문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바로 그 뒤쪽에 어떤 내용이 따라 나오는지를 봐야 한다. 다음 내용은, 물을 모아온 꿀벌은 물을 받아 줄 동료를 찾는데 이 찾는 시간이 길면 물 가져오는 일을 그만둔다는 것이다. 물을 받는 꿀벌은 필요할 때만 물을 받으러 가기 때문에 군집의 물 수요를 적절히 맞출 수 있는 교감이 일어난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말은 상황에 맞추어 행동을 바꾸는 개체들이 어떻게 “군집의 노동력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가” 하는 것이 앞뒤 문맥을 연결하는 적절한 내용이 된다.

 

 

34. We understand that the segregation of our consciousness

into present, past, and future is both a fiction and an oddly

self-referential framework; your present was part of your

mother’s future, and your children’s past will be in part your

present. Nothing is generally wrong with structuring our

consciousness of time in this conventional manner, and it often

works well enough.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however,

the sharp division of time into past, present, and future has

been desperately misleading and has, most importantly,

hidden from view the extent of the responsibility of those of

us alive now. The narrowing of our consciousness of time

smooths the way to divorcing ourselves from responsibility

for developments in the past and the future with which our lives

are in fact deeply intertwined. In the climate case, it is not that

. It isthat the realities are obscured from view by the partitioning of

time, and so questions of responsibility toward the past and

future do not arise naturally. [3점]

 

① all our efforts prove to be effective and are thus encouraged

② sufficient scientific evidence has been provided to us

③ future concerns are more urgent than present needs

④ our ancestors maintained a different frame of time

⑤ we face the facts but then deny our responsibility 

 

 

정답: ⑤

 

해설: 글의 전반부는 우리가 현재, 과거, 미래라는 시간의 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고, however가 나오는 후반부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이와 같은 시간의 틀은 맞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의 현재 삶은 과거와 미래에 연결되어 있는 것임에도 우리의 좁게 칸에 막힌 것 같은 시간 의식은 과거와 미래에 대한 우리의 책임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은 핵심 키워드로 “책임을 부인한다”가 들어있어야 한다. 이런 식으로 가닥을 잡으면 ⑤번 정답은 뜻밖에 쉽게 고를 수 있다. 난이도 높은 문제지만 문제를 푸는 테크닉이 필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37번 문항

 

[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The most commonly known form of results-based pricing

is a practice called contingency pricing, used by lawyers.

(A) Therefore, only an outcome in the client’s favor is

compensated. From the client’s point of view, the pricing

makes sense in part because most clients in these cases are

unfamiliar with and possibly intimidated by law firms.

Their biggest fears are high fees for a case that may take

years to settle.

(B) By using contingency pricing, clients are ensured that they

pay no fees until they receive a settlement. In these and

other instances of contingency pricing, the economic value

of the service is hard to determine before the service, and

providers develop a price that allows them to share the

risks and rewards of delivering value to the buyer.

(C) Contingency pricing is the major way that personal injury

and certain consumer cases are billed. In this approach,

lawyers do not receive fees or payment until the case is

settled, when they are paid a percentage of the money that

the client receives. [3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정답: ④

 

해설: 이 글의 주제는 변호사 수임료와 같은 ‘결과기반 가격책정’의 일환인 contingency pricing이 무엇이냐 하는 것이다. 주어진 문장 다음에 나올 내용으로 (C)번을 먼저 고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상해보상이나 소비자 보상 변호시 수임료는 사건이 해결되었을 때 받는다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 다음 내용 고르기가 어려운데 이어질 내용으로 일단 (A)번으로 먼저 가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A)번의 주요 내용은 소송 의뢰인이 쌩돈을 내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에 받은 보상금의 한 부분 즉 an outcome으로 보상을 하게 되므로 턱없이 높은 수임료 걱정을 안해도 된다는 것이다. 좋다. 내용이 잘 이어지는 것 같다. (B)번으로 가보면, 부수적 가격책정 장점이 한번 더 언급되고 마지막으로 ‘법률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는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전에는 결정되기 어렵고, 서비스 구매자에게 보상금을 타게 해주는 데 있어서의 리스크와 보상 가능성 두 가지를 다 감수하는 가격책정을 한다는 큰 결론이 소개된다. 이 마지막 부분의 큰 일반화 때문에 (B)번이 (A)번보다 앞에 나갈 수가 없다. 따라서 정답으로 ④번을 골라야 한다. provider와 buyer 등 전문 용어들이 가독성을 엄청 떨어뜨리는 고난도 지문이다.

 

 

 

39번 문항

 

 

[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9.

 

It may be easier to reach an agreement when settlement

terms don’t have to be implemented until months in the future.

 

Negotiators should try to find ways to slice a large issue into

smaller pieces, known as using salami tactics. ( ① ) Issues

that can be expressed in quantitative, measurable units are easy

to slice. ( ② ) For example, compensation demands can be

divided into cents-per-hour increments or lease rates can be

quoted as dollars per square foot. ( ③ ) When working to

fractionate issues of principle or precedent, parties may use the

time horizon (when the principle goes into effect or how long it

will last) as a way to fractionate the issue. ( ④ ) Another

approach is to vary the number of ways that the principle may

be applied. ( ⑤ ) For example, a company may devise a

family emergency leave plan that allows employees the

opportunity to be away from the company for a period of no

longer than three hours, and no more than once a month, for

illness in the employee’s immediate family. [3점]

 

정답: ④

 

해설: 살라미는 아주 짭짤한 이태리 소시지로 작은 슬라이스로 잘라서 조금씩 먹어야 맛있는 음식이다. 이 글은 뭐든 큰 것을 작게 잘라내어 해결하는 ‘살라미 전술’을 주제로 하고 있다. 빈칸 자리 중 1번과 2번은 도입 부분으로 ‘살라미 전술’을 설명하는 단계이므로 “보상 조건들이 앞으로 몇 달까지는 시행될 필요가 없을 때 합의에 도달하기가 더 쉽다”는 박스 안의 내용은 들어갈 수가 없다. 3번 자리 역시 보상 요구가 시간당 몇 전이냐 평당 몇 달러냐 하는 얘기 다음이므로 합의 도달 얘기가 바로 나올 수 없다. 4번 앞에는 그러나 원칙이나 선례를 세분할 때 원칙의 발효 시점이나 지속 시간 등 시간의 지평을 활용한다는 언급이 나온다. 바로 이 지점에서 박스 안의 내용이 들어갈 여지가 생긴다. 5번은 원칙이 적용되는 다양한 방법들 중 선택을 한다는 내용이 앞에 나왔으므로 시간을 고려한 합의 도달 언급이 들어있는 박스 안의 내용이 들어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이 된다. 키워드 분석을 하지 못하면 오답을 고를 확률이 높은 문제였다.

 

 

이상으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분석 및 출제 문제 분석이었습니다.